이 책은 놀이치료실에서 공격적인 놀이를 하는 아이와 작업할 때 뇌에서 일어나는 일과 신경과학적으로 아이들의 놀이를 이해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치료자에게 공격적인 놀이를 어떻게 진정성 있게 치료적으로 다루며, 통합적인 치료를 깊이 있게 경험할 수 있을 것인지를 다룬다. 아이들이 조절 불능 상태가 되어 과각성이나 저각성 상태일 때, 뇌와 몸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를 이해하여 놀이를 멈추거나 경계 설정을 하지 않고도 정서적 치유를 촉진할 수 있는 치료적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
목차
차례
역자 서문저자 서문chapter 01 놀이치료실에서의 공격성희망찬 새로운 패러다임기본을 알기추가적인 지원과 병행하기시너제틱 놀이치료강렬함을 피하지 않기놀이치료사가 흔히 겪는 일치료자부터 시작하기트라우마 치료를 위한 놀잇감 선택하기chapter 02 새로운 관점 탐색하기: 공격성 수용하기공격성 표현에 완벽한 장소, 놀이치료실카타르시스공격성에 “안 돼.”라고 말하지 않기수치심chapter 03 신경계 이해하기신경계가 정의하는 위협신경계의 활성화안전에 대한 신경지치료에서의 신경계공격적 놀이에서의 신경계chapter 04 조절의 진정한 의미연속선상에 존재하는 조절아동의 본능적인 조절 방식외부 조절자의 필요성chapter 05 외부 조절자로서의 역량 키우기성장에 대한 헌신느끼면서 조율하기강렬함에 다가가기치료자의 배쪽 신경계로 포용하기몸과의 관계를 개발하기구하고자 하는 욕구두려움에 맞서기공격성에 대한 신념치료자의 과거 경험이 미치는 영향chapter 06 조절하기의 기본치료자 먼저 산소마스크 착용하기보고 배우는 원숭이마이키 사례조절을 모델링하기경험을 소리 내어 표현하기chapter 07 설정한 발은 안으로, 한 발은 밖으로나인가, 아니면 당신인가chapter 08 진정성 있는 표현나는 정말로 내가 될 수 있을까‘해야 한다.’는 생각이 주는 방해진정성 있는 반응 나누기아이들에게 진짜가 되기 위한 치료사의 진정성신경 경로 변경하기chapter 09 경계 설정경계는 개인마다 다르다경계는 중요하다경계 설정은 유연한 경험이다어떻게 경계를 설정해야 할까흐름 유지하기: 인정하기와 재지시하기나는 공격성을 조장하고 있는가안전 문제교정하기chapter 10 너무 강렬한가: 정서적 범람과 작업하기정서적 범람에 대한 이해정서적 범람은 관계의 부분이다범람은 어떻게 나타나는가정서적 범람과 작업하기정서적 범람은 나쁜 것인가불화와 교정은 안전감을 만든다정서적으로 범람할 때chapter 11 공격적인 놀이 관찰관찰자의 중요성관찰자가 되는 방법밥백/펀칭백 사용하기chapter 12 과각성 놀이과각성을 조절하기 위한 추가 정보느끼고 흘러가도록 두어라칼싸움을 하자놀이 대본 작성chapter 13 저각성 놀이놀이치료실에서 죽음은 정말로 필요한가죽으면서 넘어지기죽은 사람은 말이 없는 법저각성과 죽음을 통해 조절하기당신은 여전히 느끼고 있다당신은 여전히 마음을 느낀다아이는 당신을 느낄 수 있다죽은 동안에도 현재에 머물기반복되는 죽음저각성 묘사하기부정적인 자기 대화chapter 14 공격적인 놀이 동안 부모 지원하기코치할 시간놀이치료실에서 부모를 조절하기경계 설정참고문헌찾아보기